본문 바로가기
영화

부산 문화회관 홈페이지

by 아이담 2025. 8. 13.
반응형

부산문화회관은 부산광역시 남구에 위치한 시립 종합 공연장으로, 1988년 대극장 개관을 시작으로 1993년 전관 개관 후 복합 문화공간으로 자리 잡았으며, 2017년 재단법인으로 출범해 부산시민회관과 통합 운영하고 있다. 대극장·중극장·사랑채극장·챔버홀 등 다양한 공연장을 비롯해 부산문화공원, 카페, 연습동(다듬채), 교육동(배움터) 등 편의·교육시설을 갖추고 있으며, 지하철 2호선 대연역과 버스·고속도로 접근이 용이하다. 또한 부산시립예술단 공연과 다양한 기획 공연을 유료회원제로 운영하며, 지역 문화예술 활성화의 중심 역할을 하고 있다.

 

부산문화회관 홈페이지


 

부산문화회관

공연전시안내,대관서비스,아카데미,부산시립예술단,커뮤니티,부산문화회관소개,정부3.0,고객센터,정기회원

www.bscc.or.kr

 

부산문화회관
부산문화회관

 

 

부산문화회관: 개요와 연혁

부산문화회관은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76번길 1에 위치한 시립 종합 공연장으로, 1988년 9월 3일 대극장 개관 후 1993년 전관을 개관하며 복합 문화공간으로 자리 잡았다. 2017년 재단법인으로 공식 출범하여 부산문화회관과 부산시민회관을 통합 운영하고 있으며, 2017~2024년에 걸쳐 사랑채극장·챔버홀 개관, 중극장 리모델링 재개관, 다듬채·배움터 개관 등 시설 현대화를 지속해왔다.

 

부산문화회관: 공연장별 상세 정보

  • 대극장: 연면적 18,916㎡, 무대 1,524㎡, 객석 1,417석(휠체어석 14), 분장실 7, 대기실 2, 1988.9.3 개관
  • 중극장: 연면적 7,210㎡, 무대 323㎡, 객석 783석(휠체어석 8), 분장실 6, 1993.4.15 개관
  • 사랑채극장(어린이 전용): 연면적 5,136㎡, 무대 119㎡, 객석 312석(휠체어석 4), 2017.9 재개관
  • 챔버홀(클래식 전용): 연면적 5,136㎡, 무대 60㎡, 객석 410석(휠체어석 4), 2017.8.15 개관
  • 운영 좌석수 요약: 대극장 1,409석, 중극장 777석, 사랑채극장 312석, 챔버홀 410석

부산문화회관: 부대시설

부산문화공원, 어린이놀이방, 주차장, 카페(HERRY’S CAFE), 다듬채(연습동), 배움터 등 다양한 편의·교육 시설을 운영한다.
2019년 11월 29일 다듬채 개관, 2024년 1월 10일 배움터 개관 등 문화교육·창작 인프라를 확충하였다.

부산문화회관: 접근 및 교통

  • 주소/연락처: (우48534)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76번길 1, Tel 051-607-6000, Fax 051-607-6069
  • 지하철: 부산도시철도 2호선 대연역 5번 출구, 유엔교차로 방면 도보 약 10분
  • 버스: 51, 68, 134, 138번(유엔공원·시립박물관·부산문화회관 정류장 하차)
  • 고속도로: 남해고속도로 → 동서고가도로 감만동 진입, 경부고속도로 → 도시고속도로 대연램프·대남지하차도 이용 가능

부산문화회관: 예매·회원제

부산문화회관 기획공연 및 부산시립예술단 정기·특별연주회 등은 유료회원제로 운영되며, 지정된 객석 수와 좌석에 따라 선착순 마감된다. 일부 회차는 단체관람으로 일반 예매 좌석이 제한될 수 있으며, 단체 예매는 대표번호로 문의 가능하다.

부산문화회관: 부산시민회관(통합 운영 대상) 참고

재단은 부산문화회관과 함께 1973년 개관한 부산시민회관도 통합 운영하며, 시민회관 대극장 1,606석, 소극장 385석으로 리모델링 및 재개관을 완료했다.
시민회관 교통편은 1호선 범일역·2호선 문현역 및 다수 버스 노선을 통해 접근 가능하다.

부산문화회관: 역사적 맥락

부산시는 1988년 9월 3일 부산문화회관(대강당) 개관을 통해 지역 문화예술 활성화에 큰 전기를 마련했으며, 이후 부산문화공원 조성 등 주변 문화 인프라를 확장했다.

 

01234567891011121314
부산문화회관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