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영화

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링크

by 아이담 2025. 8. 14.
반응형

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(KOBIS) 은 2003년 한국영화진흥위원회가 구축한 전국 영화관 통합전산시스템으로, 「영화 및 비디오물의 진흥에 관한 법률」에 따라 모든 영화관이 의무적으로 가입하여 관람객 수와 매출액을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시스템입니다. 현재 99% 이상의 가입률을 달성하여 투명하고 정확한 박스오피스 통계를 제공하며, 일별/주간/월별 관객수, 실시간 예매율, 스크린 및 좌석 점유율 등의 상세한 데이터를 매일 자정 이후 업데이트합니다. 이 시스템은 한국 영화산업의 허위 흥행 발표를 근절하고 탈세를 방지하며, 객관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시장 분석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한국 영화산업의 투명성과 경쟁력 향상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.

 

영화진흥위원회 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

 

KOFIC 영화관 입장권 통합전산망(2)

 

www.kobis.or.kr

 

 

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
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

 

 

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(KOBIS) 상세 정보

시스템 개요

**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(Korean Cinema Information System, KOBIS)**은 대한민국의 모든 영화관에서 발생하는 관람객 수와 매출액을 실시간으로 집계하는 전국 단위의 통합전산시스템입니다. 이 시스템은 한국영화진흥위원회가 주관하여 운영하고 있으며, 한국 영화산업의 투명성과 정확성을 확보하기 위한 핵심 인프라입니다.

상세 역사 및 배경

도입 이전 상황

2003년 이전까지 한국 영화시장은 각 배급사와 극장이 자체적으로 집계한 수치를 발표하는 방식으로 운영되었습니다. 이로 인해 정확하지 않은 통계, 허위 신고, 탈세 문제 등이 지속적으로 발생했으며, 한국 영화산업의 신뢰도를 떨어뜨리는 주요 원인이 되었습니다.

구축 과정

  • 2001-2002년: 시스템 설계 및 개발 착수
  • 2003년 1월: 공식 서비스 개시
  • 2004년: 전국 주요 멀티플렉스 극장 연결 완료
  • 2006년: 중소 독립영화관까지 확대
  • 2008년: 98% 가입률 달성으로 실질적 통합전산망 완성

법적 근거 및 의무사항

근거 법령

「영화 및 비디오물의 진흥에 관한 법률」 제39조(영화상영관입장권 통합전산망의 설치·운영)에 따라:

  1. 영화진흥위원회 의무: 통합전산망을 설치하고 운영해야 함
  2. 영화상영관 의무: 통합전산망에 가입하고 정확한 데이터를 전송해야 함
  3. 데이터 전송 의무: 입장객 수, 입장권 판매액, 상영 횟수 등을 실시간 전송

위반 시 제재

  • 미가입 시: 과태료 부과
  • 허위 신고 시: 형사처벌 가능
  • 데이터 조작 시: 영업정지 등 행정처분
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
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

 

 

시스템 구조 및 기술적 특징

데이터 수집 방식

  1. POS 시스템 연동: 각 영화관의 매표 시스템과 직접 연결
  2. 실시간 전송: 매표와 동시에 중앙 서버로 데이터 전송
  3. 암호화 통신: 데이터 보안을 위한 암호화 프로토콜 적용
  4. 이중 검증: 매표소와 극장 운영 시스템 양쪽에서 검증

집계 및 검증 과정

  • 1차 집계: 매일 자정 이후 전일 데이터 자동 집계
  • 2차 검증: 오전 중 수동 검토 및 오류 수정
  • 3차 확정: 주말 및 공휴일 후 최종 검증
  • 장기 검증: 분기별 감사 및 연말 정산을 통한 최종 확정
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
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

 

 

제공 서비스 상세 분석

박스오피스 통계

일별 박스오피스

  • 전일 관객수 순위 (1위~10위)
  • 누적 관객수 및 매출액
  • 상영관수 및 상영횟수
  • 좌석 점유율

주간/주말 박스오피스

  • 주중(월~목) 및 주말(금~일) 구분 집계
  • 주간 누적 관객수 변동률
  • 신작 영화 진입 현황

월별/연도별 통계

  • 월별 총 관객수 및 매출액
  • 한국영화 vs 외국영화 비율
  • 장르별 선호도 분석
  • 연령대별 관람 패턴

실시간 예매 현황

예매율 집계 방식

  • 상영 2시간 후부터 예매 데이터 반영
  • 매시간 단위 업데이트
  • 지역별 예매 현황 제공
  • 시간대별 예매 패턴 분석

상영관 운영 통계

스크린 점유율

  • 전국 스크린 총 개수 대비 각 영화별 점유율
  • 지역별 스크린 배분 현황
  • 상영관 체인별 상영 비중

좌석 점유율

  • 실제 판매된 좌석 수 / 총 좌석 수
  • 시간대별 점유율 (오전/오후/저녁/심야)
  • 요일별 점유율 패턴
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
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

 

데이터 신뢰성 확보 방안

기술적 검증

  1. 자동 오류 검출: 비정상적인 수치 자동 감지
  2. 중복 제거: 동일 거래의 중복 집계 방지
  3. 실시간 모니터링: 24시간 시스템 감시

행정적 검증

  1. 정기 감사: 분기별 표본 극장 현장 감사
  2. 교차 검증: 세무서 신고 자료와 대조
  3. 제3자 검증: 회계법인을 통한 독립적 검증

데이터 보정 과정

  • 일반 보정: 매일 오전 시스템 점검 및 수정
  • 주간 보정: 주말 후 누적 데이터 재검토
  • 월간 보정: 월말 정산을 통한 최종 수정
  • 연간 보정: 세무 신고와 연계한 최종 확정

 

산업에 미치는 영향

투명성 제고

  • 허위 흥행 발표 근절
  • 객관적 성과 평가 기준 제공
  • 투자자 신뢰도 향상

시장 분석 기능 강화

  • 정확한 시장 규모 파악
  • 관객 선호도 트렌드 분석
  • 배급 전략 수립 지원

정책 수립 지원

  • 영화 지원 정책의 근거 자료 제공
  • 스크린쿼터 정책 효과 측정
  • 지역 영화관 활성화 방안 모색
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
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

 

 

국제적 비교 및 특징

해외 유사 시스템과의 차이점

미국: 박스오피스 모조(Box Office Mojo) 등 민간 집계 시스템 중심
일본: 일본영화제작자연맹 주도의 반관반민 방식
한국: 정부 주도의 완전 통합 시스템으로 세계적으로 독특한 모델

시스템의 우수성

  • 높은 정확도: 99% 이상의 가입률로 거의 완벽한 집계
  • 실시간성: 즉시 데이터 반영으로 신속한 정보 제공
  • 투명성: 모든 데이터 공개로 산업 신뢰도 향상

 

미래 발전 방향

기술적 개선 계획

  • 빅데이터 분석 기능 강화
  • 인공지능을 활용한 예측 시스템 도입
  • 모바일 최적화 서비스 확대

서비스 확장 계획

  • OTT 플랫폼 연계 서비스 검토
  • 해외 진출 한국영화 통계 연계
  • 관련 산업(드라마, 공연 등)으로의 확장 검토

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은 한국 영화산업의 투명성과 정확성을 확보하는 핵심 인프라로서, 지속적인 발전을 통해 한국 문화콘텐츠 산업 전반의 경쟁력 향상에 기여하고 있습니다.

 

01234567891011121314
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

반응형